- 일반 SW (범용 SW의 품질 측정 )
인정 분야 | 인정 표준 |
---|---|
일반 SW | ISO/IEC 25023:2016 -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품질 요구사항 및 평가(SQuaRE) -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제품 품질 측정 |
KS X ISO/IEC 25051:2014 -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품질 요구사항 및 평가(SQuaRE) - 즉시 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제품(RUSP)의 품질 요구사항 및 테스팅 지침 | |
과기정통부 고시 제2024-41호(2024.10.29.): SW 품질인증 |
- 데이터품질/AI(인공지능)품질 (데이터 품질, 인공지능 시스템의 품질 및 성능, 신뢰성 시험)
인정 분야 | 인정 표준 |
---|---|
데이터 | ISO/IEC 25024:2015 -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공학 - 스템 및 소프트웨어 품질 요구 및 평가(SQuaRE) - 데이터 품질 측정 |
과기정통부 공고 제2023–0457호: 데이터 품질인증 | |
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 데이터 품질관리 가이드(2021) | |
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품질관리 가이드라인 v3.1 | |
인공지능 | ISO/IEC TS 25058:2024 -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공학 -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품질 요구 및 평가(SQuaRE) - 인공지능 시스템 품질 평가 지침 |
ISO/IEC 25059:2023 -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공학 -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품질 요구 및 평가(SQuaRE) - 인공지능 시스템 품질 모델 | |
ISO/IEC TR 24028:2020 - 정보기술 - 인공지능 - 인공지능 신뢰성 개요 | |
ISO/IEC TR 24027:2021 - 정보기술 - 인공지능 시스템 및 AI 지원 의사결정에서의 편향 | |
ISO/IEC TS 4213:2022 - 정보기술 - 인공지능 - 머신러닝 분류 성능 평가 |
- 기능 안전(Safety-Critical Systems) 분야 (산업 제어, 철도, 자동차, 항공 등 Safety-Critical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기능 안전 시험 )
인정 분야 | 인정 표준 |
---|---|
기능 안전 | IEC 61508-3::2010 - 전기/전자/프로그램 가능한 전자장치 안전 관련 시스템의 기능 안전성 -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|
MISRA C:2012 Critical systems에서의 C언에 사용에 관한 코딩 가이드 | |
IEC 62279:2015 - 철도 적용 - 통신, 신호 및 처리 시스템 - 철도 제어 및 보호 시스템에 대한 소프트웨어 | |
ISO 26262-6:2018 - 자동차 - 기능안전 - 소프트웨어 수준의 제품개발 |
- 사이버보안 (소비자 IoT, 무선기기, 금융 관련 기기 등 SW보안성 시험 )
인정 분야 | 인정 표준 |
---|---|
사이버보안(CE RED 인증 대응 가능) | ETSI EN 303 645 V3.1.3: 소비자 IoT 사이버보안 가이드라인 |
EN 18031-1:2024 - 무선 장비를 위한 공통 보안 요구사항 - 파트 1: 인터넷 연결 무선 장비 | |
EN 18031-2:2024 - 무선 장비를 위한 공통 보안 요구 사항 - 파트 2: 데이터 처리 무선 장비, 즉 인터넷 연결 무선 장비, 보육용 무선 장비, 장난감용 무선 장비 및 웨어러블 무선 장비 | |
EN 18031-3:2024 - 무선 장비를 위한 공통 보안 요구 사항 - 파트3: 인터넷 연결 무선 장비, 가상화폐 또는 금전적 가치 처리 장비 |
- 소프트웨어 시큐어 코딩 (소스코드상 발생 가능한 보안 약점을 진단하는 시험)
인정 분야 | 인정 표준 |
---|---|
시큐어 코딩 | 행정안전부 고시 제2023-27호: SW 보안 약점 진단 기준 |
KOLAS 공인시험성적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, 산업통상자원부, 중소벤처기업부, 행정안전부 등
전 정부부처, 지자체 및 공공기관의 R&D과제 결과 평가 시 품질 평가 자료로 활용이 가능합니다.
패키지 및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등 제품의 품질 평가 자료로 활용하여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고 제품의 차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.
조달 및 일반 입찰 시 KOLAS 공인시험성적서를 활용하면 소프트웨어 공급자는 제품의 품질 차별성을 어필할 수 있고,
구매자의 경우 소프트웨어 비교평가 시 객관적인 제품 선택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KOLAS 공인시험성적서는 정부부처, 공공기관 지자체, 민간기업 등에서 발주하는 정보 시스템 사업의 최종 검수 단계에서 품질 평가 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.
KOLAS 공인시험성적서는 APAC MRA∙ILAC MRA에 속한 시험 기관에서 발급한 공인시험성적서와 상호인정이 가능해
글로벌 시장 진출 시 해외에서도 품질 평가 자료로 활용이 가능합니다.
AI, DATA, IoT...
도메인 별 전담 팀
TEST BED
독립된 시험공간
SAFETY
안전한 시험 환경
정보보호경영시스템(ISO/IEC 27001) 인증 획득
D-DAY
고객 일정 맞춤
시험 신청
상담
계약
시험 진행
상호 검토
성적서 발급